간단 명료하게.
톰캣 6.0의 사상부터 알아보면,
기본적으로 context path 설정을
톰캣루트\conf\server.xml 설정을 하고
톰캣루트\conf\Catalina\localhost\ROOT.xml 에서 실제 웹서비스 리소스(context루트)를 세팅하게 되어있습니다.
명료하게 순서를 보면
1. server.xml 을 열어 context path 부분을 보면 docBase 부분이 webapps 로 되어있는데, 요놈을 ROOT로 변경해 줍니다.
<Context path="/" docBase="ROOT" debug="0" reloadable="true">
<!-- DB설정부분입니다. -->
<Resource auth="Container" driverClassName="com.microsoft.sqlserver.jdbc.SQLServerDriver" initialSize="5" maxActive="20" maxIdle="2" name="web.xml에서 매핑할이름" password="db패스워드" removeAbandoned="true" type="javax.sql.DataSource" url="각DB커넥션방법참조" username="db사용자"/>
</Context>
2. 톰캣루트\conf\Catalina\localhost 폴더 아래에 ROOT.xml 파일을 만들어 줍니다.
파일안의 내용은
<Context path="/" docBase="path" debug="0" reloadable="true">
<!-- DB설정부분입니다. -->
<Resource auth="Container" driverClassName="com.microsoft.sqlserver.jdbc.SQLServerDriver" initialSize="5" maxActive="20" maxIdle="2" name="web.xml에서 매핑할이름" password="db패스워드" removeAbandoned="true" type="javax.sql.DataSource" url="각DB커넥션방법참조" username="db사용자"/></Context>
주) path : 연결하고자 하는웹리소스의 루트 경로입니다.
즉, 이클립스의 webcontent 루트 경로 가 c:\project\test\webcontent
라고 하면 docBase="c:\project\test\webcontent" 이렇게 설정해주면 됩니다.
이렇게 하시고 톰캣루트\bin\startup 으로 실행 하고 접속하시면 설정한 경로로 접속되는것을 보실수 있음.
중요한것은 톰캣은 기본적으로 자신의 하위 폴더의 conf\Catalina\localhost 아래의 *.xml 파일명을 context 루트로 먼저 찾습니다. 만일 이 폴더에 text.xml 이 있다면 webapps 아래에 그 xml 파일명으로 된 폴더를 찾으며, 없을경우 오류를 뿜습니다. 참고하세용. 따라서 context를 추가하시려면 server.xml 에서 docBase 를 설정하고 그 docBase 이름으로 된 xml 을 conf\Catalina\localhost 하위에 만들어 그곳에서 context루트를 설정하시면 됩니다.
위 세팅은 톰캣 6.X 에서의 방법입니다. 하위 버전은 세팅방법이 틀리니, 이 글을 참조하시면 삽질할 수 있습니다.
'내가 하는일 > 시스템(서버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entOS 상에서 FFmpeg 세팅 (0) | 2014.01.14 |
---|---|
DV7 데스크노트(17인치) 액정교체 (0) | 2012.08.14 |
리눅스 iptables 설정법 (0) | 2011.09.16 |
sharepoint server 2010 로컬계정으로 세팅하기 (0) | 2011.05.20 |
2008 R2 원격시스템 리붓 command (0) | 2011.05.15 |